논문작성가이드/표절예방 안수찬 2018. 10. 15. 16:33
최근 연구에 있어서 표절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들이 발생하여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경희대학교는 CopyKiller, Tunitin 서비스를 통해 표절을 근절하고 예방하고 있습니다. 일부 대학원의 경우 논문심사 시 표절예방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기도 합니다. 우리 대학은 2017년까지 Turnitin을 사용하여 2018년 CopyKiller로 서비스를 변경하였습니다. CopyKiller 서비스 이후 Turnitin에 대한 구독 의견이 많아 연구처에서 Turnitin의 서비스를 재개하였씁니다. Turnitin은?논문 및 과제에 대한 표절여부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로서 전 세계 Web Page와 학술저널, Turnitin을 통해 제출한 과제와 논문을 실시간 비교하여, 사전에 표절을 예방할 수 있도록 ..
논문작성가이드/표절예방 안수찬 2018. 10. 15. 15:46
표절예방서비스 턴잇인(Turnitin) 서비스 개시 안내 중단되었던 표절예방서비스 턴잇인(Turnitin)의 서비스를 아래와 같이 재개합니다. Turnitin은 논문 및 과제에 대한 표절여부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로써, 전세계 120억건의 Web Page와 2,900만건 이상의 학술저널, Turnitin을 통해 제출한 과제와 논문을 실시간 비교하여, 사전에 표절을 예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웹 서비스입니다. 1. 재오픈일 : 2018년 10월 15일 부터2. 이용 경로도서관 홈페이지 > FIND IT > 학술DB > 해외학술DB > Turnitin 접속 또는 홈페이지 하단 주요학술DB에서 항목 클릭URL : https://www.turnitin.com/ko3. 도서관 홈페이지 > Research > ..
학술정보 활용 가이드 안수찬 2018. 8. 9. 14:01
선행연구조사란 자신이 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와 동일한 주제로 다른 연구자들은 어떻게 연구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초가 되는 과정입니다. 선행연구조사 과정에 다양한 학술정보원을 이용하게 되는데 정보의 홍수 시대에 나에게 꼭 필요한 권위있고 영향력 있는 학술정보를 찾기는 힘든게 현실입니다. "3000여 종의 소수의 저널에서 전 세계에서 출판되는 논문의 80%가 발표되고, 이 저널에서 전체 인용의 90%가 발생한다." - Bradford’s Law Bradford의 법칙에서 보듯이 수많은 저널 중에서 일부의 소수의 저널에 논문 발행이 편중되어 있고 그 저널에서만 인용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의 선행연구조사도 영향력 있는 소수의 저널에만 한정되는 것이 효율적일 것입니다. 오늘은 선행연구조..
학술정보 활용 가이드 안수찬 2018. 8. 9. 13:27
DBpia Insight는 논문, 저널, 저자의 이용/인용지표 및 연관정보를 제공하는 추천서비스입니다.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연구자가 관심있어 할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추천해 줍니다. DBpia Insight를 통해 논문, 저널, 저자의 이용/인용성과와 영향력을 비교해 보세요. DBpia Insight 제공 서비스 DBpia Insight 접속하기1. 바로 접속하기 도서관 홈페이지 > Find It! > 학술DB > 국내학술DB > DBpia Insight2. DBpia에서 DBpia Insight 로 가는 방법DBpia에서 검색한 논문의 더 자세한 정보가 궁금하다면 메인화면, 논문검색결과화면, 논문상세화면의 파란색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Insight로 이동하여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인화면..
학술정보 활용 가이드 안수찬 2018. 8. 9. 13:10
RISS Analytics는 RISS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에 대하여 자료의 활용도를 분석하여, 유형별, 년도별로 활용도가 높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RISS Analytics에서 제공하는 활용도 분석을 통해 어떤 논문들이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지를 살펴 봄으로써 연구분야의 동향분석을 위한 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활용도 분석이란?RISS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의 활용도를 분석하여, 유형별, 년도별로 활용도가 높은 자료를 제공합니다. 활용도는 RISS 이용자의 여러 이용통계(상세정보조회건수, 원문다운로드 건수, 대출신청 건수 등)를 View, Usage, Share 항목으로 분류하여, RISS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별로 해당 이용통계의 수치를 반영하여 산출하였습니다. 활용도 높은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