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cago Manual 이해하기
- 학술정보 활용 가이드
- 2018. 8. 6. 10:57
Chicago Style은 20세기 초 Chicago University 출판부가 저서와 논문을 출판 하는 과정에서 체제와 형식을 체계화하기 위해 작성한 한 장 분량의 기준이 모태가 되었습니다. Chicago Style은 각주 및 내주의 두 가지 방식을 제공합니다. 각주(notes and bibliography)는 인문학 분야에서 선호하고, 내주(author-date)는 자연과학, 사회과학 분야에서 선호 합니다.
각주 + 참고문헌
각주는 본문에 인용된 순서대로 표시하고, 참고문헌은 문자순 또는 단어순 배열에 따라 연도를 뒷부분에 기재하여 리스트를 만듭니다.
[본문 내 인용]
...증가현상을 나타낸다.2) 또한 고온에서의 운동시에는 동일 운동 강도를 기준으로 상온에 비해서 에너지소비량 및 산소섭취량이 증가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3)...
[각주]
2) D. S. LeBlanc and B. Girard,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Adaptation to Cold in Man,” J. Appl. Physiol. 39, (1975): 31-32.
3) J. H. Wilmore and D. L. Costill, Physiology of sport and Exercise, 2nd ed. (IL: Human Kinetics, 1999), 155.
[참고문헌]
LeBlanc, D. S. and B. Girard,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Adaptation to Cold in Man,” J. Appl. Physiol. 39, (1975): 31-35.
Wilmore, J. H. and D. L. Costill, Physiology of sport and Exercise, 2nd ed. IL: Human Kinetics, 1999.
내주 + 참고문헌
저자 연도, 페이지)로 본문 내에 인용하고, 참고문헌은 저자명 순으로 연도를 앞부분에 기재하여 리스트를 만듭니다.
[내주]
(Welch 2002, 145)
(Weinstein 2009, 452-53)
[참고문헌] :
Weinstein, Joshua I. 2009. "The Market in Plato's Republic." Classical Philosophy 140: 439-58.
Welch, Jack. 2002. 미래경영. 이재규 옮김. 서울: 청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