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홈페이지 오픈 액세스 메뉴 오픈
- 학술정보 활용 가이드
- 2020. 3. 13. 16:29
학술정보는 금전적인 수익창출보다는 널리 활용되어 그 업적을 해당 분야에서 인정받도록 하는 사회적 합의가 바탕이 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용자는 물론 연구 생산자까지도 고비용, 저작권, 비표준화 등으로 인해 정보와의 접근이 어려우며 따라서 학술활동에 큰 장애가 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Open Access(오픈 액세스)는 "학술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이용" 이라는 개념으로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어디서든지 각종 연구성과물들을 출판과 동시에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적 운동으로 오픈 액세스가 활성화 되면,
연구자(저자)는 본인의 연구 결과물을 보다 쉽게 전세계 학술커뮤니케이션에 알림으로써 연구의 가시성 및 영향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도서관은 학술지 구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식정보 중계자로서 자관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물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정부 및 공공기관은 정부 및 공공기관의 연구기금으로 생산된 연구성과물들의 디지털 보존체제를 구축하여 대국민 공공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 및 학회는 기존 학술지 구독료에 의존하던 수익모델에서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으며 무료이용이 확대될수록 출판사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도서관 홈페이지 오픈 액세스의 개념과 오픈 액세스 출판에 대한 지원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가 추가되었습니다. 메뉴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접속하기
도서관 홈페이지 > RESEARCH > 논문작성지원 >오픈 액세스
KHU Library: 국제캠퍼스 중앙도서관: 오픈 액세스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중앙도서관
library.khu.ac.kr
메뉴 내용
오픈 액세스 개요 오픈 액세스 저널 선택기준과 출판사 정책 |